11장. WebLogic – Coherence 세션 그리드 서비스 – 2.1 (WKA을 활용한 MultiCast Cluster)

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6장의 코히어런스 세션그리드 서비스 – 2(https://with-kami.duckdns.org/oracle-fusion-middleare/coherence/119)를 통해 별도의 코히어런스를 활용한 웹로직 – 코히어런스 세션 클러스터링을 확인 해 보았습니다. 이번 장에서는 6장에서 활용한 유니캐스트가 아닌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내용을 정리하게 되었는데요, 클라우드 환경에서 해당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클라우드 특성상 유니캐스트 방식은 허용되지 않아 또 다른 클러스터 구성 방식인 멀티캐스트 WKA … Read more

10장. Coherence Demo with K8s, Coherence Operator (From / Coherence CE Community)

이 글은 2023.8.24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59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9장까지의 내용을 통해 Coherence Demo 적용 및 사용 방법을 확인해 보았습니다. 10장에서는 Coherence의 컨테이너 운영을 도와주는 오픈소스 도구인 Coherence Operator를 활용해 K8s(쿠버네티스)에 배포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9장과 10장에서 진행에 참고한 Coherence CE Examples 문서입니다. https://coherence.community/examples.html 진행에 문제가 있거나 … Read more

9장. Coherence Demo (From / Coherence CE Community)

이 글은 2023.6.2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58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8장까지의 내용을 통해 Coherence의 Session Cluster 적용 및 사용 방법을 확인해 보았습니다. 9장에서는 Coherence의 오픈소스 버전인 Coherence CE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Coherence Demo를 서버와 Eclipse에 구현해 보고 데이터 그리드로 활용법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이번 장 진행에 참고한 Coherence CE Examples … Read more

8장. Tomcat – Coherence 세션 그리드 서비스

이 글은 2023.3.16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56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5장과 6장의 WebLogic – Coherence 세션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같은 Oracle 제품인 WebLogic에 Coherence-Web을 적용하는 방법을 확인 해 보았습니다. 8장에서는 오픈소스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Tomcat – Coherence 세션 그리드 서비스를 구성해 보고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6장에서 진행한 Coherence … Read more

7장. Coherence 모니터링 (with JMX)

이 글은 2022.6.8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42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5, 6장의 코히어런스 세션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코히어런스 기반 세션 클러스터링을 확인 해 보았습니다. 7장에서는 JXM를 활용한 코히어런스 모니터링에 대해 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코히어런스 Client Application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가시성이 떨어지고 사용에 불편함이 있기때문에 Java Visual VM과 JMX를 통한 모니터링을 … Read more

6장. WebLogic – Coherence 세션 그리드 서비스 – 2

이 글은 2022.6.3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41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5장의 코히어런스 세션그리드 서비스 – 1을 통해 코히어런스 기반 세션 클러스터링을 확인 해 보았습니다. 6장에서는 별도의 코히어런스를 활용하여 웹로직 – 코히어런스 세션그리드 서비스를 구성해 보고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이 구성을 응용하면 (코히어런스 + 톰캣), (코히어런스 + 웹로직 + 톰캣)등의 구성에도 … Read more

5장. WebLogic – Coherence 세션 그리드 서비스 – 1

이 글은 2022.5.31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40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4장의 예제 소스코드 분석을 통해 코히어런스의 동작방식을 확인 해 보았습니다. 5장에서는 코히어런스의 가장 대표적인 기능인 웹로직 – 코히어런스 세션그리드 서비스를 구성해 보고 알아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 이 블로그 글은 미들웨어 경험이 없으신 분들도 쉽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하는 것이 … Read more

4장. Coherence Examples 동작방식 (Contacts Driver class 분석)

이 글은 2022.5.23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39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3장의 예제를 바탕으로 Oracle의 in-memory 캐시 솔루션인 Coherence의 동작방식을 확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블로그 글은 미들웨어 경험이 없으신 분들도 쉽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 설명을 보고 진행하시다가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문의하시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알려 드리도록 … Read more

3장. Coherence Examples 실행

이 글은 2022.5.16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38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2장의 설치에 이어 Oracle의 in-memory 캐시 솔루션인 Coherence 예제를 실행해 보겠습니다. 이 블로그 글은 미들웨어 경험이 없으신 분들도 쉽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 설명을 보고 진행하시다가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문의하시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1. … Read more

2장. Coherence 설치 및 캐시서버 기동

이 글은 2023.5.9에 기존 T-Story 블로그에 작성했던 글 입니다. (https://with-kami.tistory.com/1534837) 안녕하세요. ‘수상한 김토끼’ 입니다. 1장의 소개에 이어 Oracle의 in-memory 캐시 솔루션인 Coherence를 설치해 보겠습니다. 이 블로그 글은 미들웨어 경험이 없으신 분들도 쉽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쉽게 작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 설명을 보고 진행하시다가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문의하시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1. Coherence … Read more